240426 금
오늘은 전체적인 설문조사 인사이트를 분석하는 시간을 가졌다. 우리 서비스가 가져가야할 기능들이나 방향 설정이 조금 더 명확해졌다.
하지만 아직 뭉뚱그린 부분들도 많고 구체적으로 어떤 해결책을 제시하고 어떻게 기능으로 풀어낼지에 대한 방안이 조금 불명확하다는 판단이 들어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.
[설문조사 인사이트 요약]
<서비스 목표>
많은 사람들이 높은 레벨의 발표 불안을 겪고 있다.
이에 대한 원인은 공개적인 주목의 부담, 실수에 대한 걱정, 자신감 부족 등
따라서, 우리 서비스의 방향은
->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(AI의 발표 피드백 제공)
-> 다양한 상황에서 발표 연습을 할 수 있는 서비스 (실제와 흡사한 환경 제공)
<솔루션 방향>
발표 불안을 겪고 있는 사람들은 반복적인 내용 숙지를 위해 대본 리딩 시뮬레이션을 주로 함
이 때,
스스로 피드백을 주기 어려움 -> AI가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 (AI의 구체적인 피드백은 어떤 부분을 줄 수 있을지?)
실전에서 마인드 컨트롤이 어려움 -> 마인드 컨트롤 할 수 있는 방안 제공 (중간중간 마인드 컨트롤 해줄 수 있는 안내? 관련 학습영상제공?)
실제 발표가 아니다보니 몰입력이 떨어짐 -> 실전과 흡사한 환경을 제공해 몰입력을 높이자(어떤 환경을 제공해야 몰입도가 높아질지?)
<피드백 관련 서비스 메인 기능>
발표 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과 피드백 시 항상 조언 받는 내용이 흡사하므로 이 부분의 기능을 섬세하게 고려해야함.
자연스러운 어조와 말투 -> 음의 높낮이와 발음 교정
명확한 주제 전달 -> ‘네이버 클로바' 기능 참고
자신감 -> 리워드나 그런 부분으로 해줘야할까요? 시각적으로 역량이 강화된 사실의 피드백을 제공한다던지?
+) 서브 기능
발표 시간 관리, 호흡 관리, 커뮤니티 개념(역량 강화를 위해 타인의 의견 수집)
[심층 인터뷰 질문지]
[2주차 예정]
월요일까지 각자 인터뷰 (1명씩!)
월요일 그 외 시간은 AI 기술 리서치
AI와 발표연습의 관계성 조사
페르소나/져니맵 결정
필드 리서치 인사이트 다 뽑고 (화)
이를 토대로 페인/솔루션/키피쳐 구체적으로 (화-수)
(온보딩 간단 개인 발표 성향 테스트?,스크립트 제공?,)
IA / Flow Chart (수-목)
브랜딩 슬슬~ 색상/폰트/UI 무드(레퍼런스 찾기) (금)
와이어프레임 (금)
본 후기는 유데미 x 스나이퍼팩토리 UI/UX 인턴형 프로그램 3기 과정(B-log) 리뷰로 작성되었습니다.
'내일배움캠프 UXUI디자인 1기 > 본캠프 TIL & W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XUI 1기]MVP 기획 프로젝트를 마치며 작성하는 마지막 회고록.. (1) | 2024.04.15 |
---|---|
[UXUI 디자인 1기]240411 TIL. (0) | 2024.04.11 |
[UXUI 디자인 1기]240409 TIL. (0) | 2024.04.09 |
[UXUI 디자인 1기]240408 TIL. (0) | 2024.04.08 |
[UX/UI 디자인 1기]240405 WIL. (0) | 2024.04.06 |